백년지대계/교육이슈

3등급으로 서울대를?! 서울 상위 15개 대학 등급 컷 공개!

맕은 2022. 1. 5. 10:35
728x90
반응형

 

2021학년도 수시 입시 결과를 토대로 3등급으로 갈 수 있는 대학을 알아볼까?

수시전형은 전형별로 추구하는 인재상과 평가방법이 다 다르기 때문에

지원하기에 앞서서 학교에서 원하는 인재상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특별히 학종은 내신성적 뿐 아니라 전공관련 활동, 학생의 역량 등 생활기록부를 보고 다각도로 평가가 되기 때문에

내신성적이 조금 부족한 학생들에게는

학종을 통해 보안할 수 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한 점이다.

 

반응형

2021학년도 입결

서울대 고고미술사학 입결 3.1 종교학과 3.0 (최종 등록자 70%컷)

- 70프로 컷이면 밑에 학생들이 더 있다는 것?!

출처: 에듀진

성실하게 학교를 다니며

학교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학생이라면

누구든지 도전 할 수 있다.

물론 최저등급 제한같은 장애물도 있지만

최근 약해진 최저등급은 노력한다면 충분히 얻을 수 있는 결과라고 보여진다.

참고로 서울대에서 정의하는 성실한 학생이란,

학교를 열심히 다닌 친구가 아닌

교내활동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활용하는 학생을 말한다.​

 

한국외대

가장 많은 학과가 3점대에 포진되어 있는 것들을 볼 수 있다.

면접형과 서류형으로만 봤을 때

면접형의 점수가 낮을 것으로 예측되나

결과를 보면 또 딱히 크게 차이 나지 않는 부분을 확인 할 수 있다.

도전하자. 도전만이 그들에게 기회가 온다.

 

 

이공계열 점수도 확인들어갑니다.

출처:에듀진

역시나 한국외대!

가장 많은 학과를 보유하고 있다.

-더군다나, 최종 등록자 평균이니....분명 아래 점수들도 많이 있겠지?!!! 대학은 문닫고 들어가는 점수를 잘 공개하지 않는다. 자신의 대학이 낮은 점수의 대학으로 보여지고 싶어 하지 않기 때문이다.

학종의 경우

특목고 자사고의 특화된 전형도 분명히 존재한다.

하지만

무조건 그들이 유리한 것은 아니다.

일반고 학생들에게도

분명히 기회는 열려 있다고 본다. 

대학에서는 입시가 종결된 후에 

일반고 특목고 비율을 공개한다. 그런 공개로 특목고 특혜에 대한 점들을 피해 설명할 수 있도록 말이다.

대학에서 특목고를 많이 뽑는 건 대학에서도 부담스러운 일이다.

그리고 반대로 생각해보자.

저 점수가 특목고 커트라인으로 본다면

특목고,자사고에서도 4등급 이하의 학생들은 학종으로도 서울상위 15개 대학 수시로 들어가기엔 

버겁다는 사실을 시사하고 있다.

 

지금 수시는 

일반고 학생들에게..

특별히 성실한 일반고 학생들에게 유리한 전형이다.

그렇다면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

아래글을 살펴보자.

https://martini-edu.tistory.com/34?category=1029437 

 

[상위권대학합격보장] 생기부속 '스토링텔링'에 주목하자

#생활기록부기재요령 #생기부기재요령 #스토리텔링 '스토리텔링' 언제부터인지 자소서(자기소개서), 학종(학생부종합전형)에서 자주 나오는 단어가 바로 스토리텔링이다. 오늘 그 부분에 대해

martini-edu.tistory.com

 

개개인의 특성과

자신의 전공적합성, 그리고 학교의 인재상등을 고려하여

지원하여보자.

여러분도 들어갈 수 있다. 퐈이어!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