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년지대계/교육이슈

[2026수능분석] 사탐런? 사탐응시률 급증? 나의 선택은?

맕은 2025. 5. 30. 11:00
728x90
반응형

황금돼지띠 고3 작년보다 2만 8천여명이 늘었고

졸업생도 1천명 이상 늘었따!!!

 

 

N수생은 22년만 최대치를 예상하고있으며

일명 '사탐런'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는 일부 의대에서 탐구과목을 사회탐구도 인정을 해줘서 생긴 현상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 문제에 대해 본격적으로 탐구해 보자!!!

 

 

📊 고3 수험생 ‘사탐런’ 본격화?

2025년 5월 학평에서 나타난 탐구영역의 큰 변화

2025년 5월 8일에 실시된 전국연합학력평가(학평) 결과가 발표되면서, 수험생들의 탐구영역 선택에 큰 변화가 나타났습니다. 특히 사회탐구(사탐) 응시 인원이 작년보다 무려 10만 명 이상 증가한 반면, 과학탐구(과탐)는 4만 명 넘게 감소해 수험생 사이에서 이른바 ‘사탐런’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났습니다.

 

 

✅ 사탐 응시율 급증!

종로학원에 따르면, 이번 고3 학평에서 사탐 응시자는 43만4,155명으로 지난해보다 10만707명 증가했습니다. 응시율은 **66.6%**로 작년의 55.9%에서 무려 30.2%p 상승했습니다.
2년 전과 비교하면 무려 47.2% 증가한 수치로, 사실상 사탐 선택이 대세로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728x90

 

 

🔍 사탐런이란?

‘사탐런’이란 원래 과탐을 선택하던 자연계열 수험생들이 학습 부담이 상대적으로 덜한 사회탐구로 이동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특히 의대 등 상위권 자연계 학과 진학을 노리는 수험생들 사이에서 이 변화는 점점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 과탐 응시율은 큰 폭으로 하락

반면 과탐 응시자는 21만7,723명으로 작년보다 4만4,810명 감소했습니다. 응시율 역시 작년보다 17.1% 하락했죠. 이는 사탐 응시 증가와 맞물려 과탐을 택하는 수험생들이 상대적으로 불리한 입장에 놓일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 왜 이런 변화가 생겼을까?

2026학년도 대입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에게 있어 사탐 선택의 문이 넓어졌기 때문입니다.

  • 주요 대학들이 수시모집 수능최저학력기준에 사탐을 인정하기 시작했고,
  • 일부 자연계 학과에서도 사탐 응시를 수시·정시 모두 인정하는 추세로 전환되면서
    학습 부담이 덜한 사탐을 택하는 움직임이 커지고 있습니다.
반응형

⚠️ 앞으로의 전망은?

종로학원은 오는 6월 모의평가부터 N수생들까지 가세하면 ‘사탐런’ 현상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또한 응시 인원이 급감한 과탐 과목은 백분위 확보와 고득점 획득이 어려워질 수 있어, 과탐 선택 수험생들에게 상당한 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 마무리 생각

2026학년도 대입을 앞두고 수험생들의 탐구 전략은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습니다.
사탐으로 쏠리는 현상은 분명히 학습 효율과 입시 유불리 전략의 결과이지만, 과탐 선택자에게는 등급 경쟁의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점에서 신중한 선택이 요구됩니다.

탐구영역, 단순히 ‘편한 과목’보다는 나의 목표 대학과 학과, 학습 역량을 모두 고려한 전략적 선택이 더욱 중요해졌습니다.

 

 

수험생들의 선택을 응원합니다!!

728x90
반응형